36.

자신의 뒷모습을 찍은 사진을 보는 일만큼 기이한 객관화가. 


인간은 상상력을 지닌 동물이기에 얼굴이 보이지 않는 사진을 두려워 합니다, 라는 이야기를 들은 기억도. 


-코끼리를 포기할 수 있는 마음.


그 일로 얼마나 벌고, 누구의 선망 혹은 경멸을 받든. 저는 언제나 스스로가 하는 일 - 그렇기에 일이 없으면 자존이 무너지기도 - 에 대한 자긍심을 지니고 있었기에 자의 반 타의 반 그 일에서 통채로 도려진 듯한 작년 몇달이 그렇게 힘들었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.


조금 눈을 낮추고, 공공기관 몇군데에 입사 지원을 하여 그 중 한 곳에서 최종 합격통보를 받았습니다. 현 대통령이 제창한 블라인드의 수혜를 몸소 받은 입장인터라 저보다 뛰어난 다른 사람들의 기회를 뺏은 것이 아닌가, 하는 생각이 들긴 하지만 그만큼 그 다음을 위해 제가 버티고 개선해야 할 길이라는 마음을 다져봅니다. 오늘 하루는 이 생각만으로 저는 배부르게 행복할 것 같네요.


염려해주셔서 감사했습니다. 저는 온전합니다, 모쪼록 무탈히 웃는 하루 이시길 바랍니다.   


러시아인이 된다는 것은 비관주의자가 된다는 것이었고, 소비에트인이 된다는 것은 낙관주의자가 된다는 것이었다. 그래서 소비에트 러시아라는 말은 용어상 모순이었다. 권력층은 이 점을 전혀 이해하지 못했다. 인구 중에서 필요한 만큼을 죽여 없애고 나머지에게는 선전과 공포를 먹이면 그 결과로 낙관주의가 올 것이라 생각했다. 그러나 거기 어디에 논리가 있는가? 그들이 그에게 여러 가지 방식과 표현으로, 음악 관료들과 신문 사설을 통해 끊임없이 이야기했던 대로, 그들이 원했던 것은 '낙관적인 쇼스타코비치'였다. 용어상 또 하나의 모순이었다.


그가 무엇으로 시대의 소음과 맞설 수 있었을까? 우리 안에 있는 그 음악 - 우리 존재의 음악 - 누군가에 의해 진짜 음악으로 바뀌는 음악. 시대의 소음을 떠내려 보낼 수 있을 만큼 강하고 진실하고 순수하다면, 수십 년에 걸쳐 역사의 속삭임으로 바뀌는 그런 음악.


그가 고수했던 것이 바로 그것이었다.